한국전쟁 이후 보건의료 ‘수혜국’서 ‘원조국’ 변신서울대 의대·간호대·치의학대학원·보건대학원 공동 5개 년 프로젝트 연합뉴스 / 2015/11/17 보도 (원문 바로가기)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서울대가 베트남에 5개 년에 걸쳐 선진국형 보건의료시스템을 전수한다. 50여년 전만 해도 . . .
jwleecenter / 08-13
서울대학교 글로벌사회공헌단과 의과대학간 연계·융합 사회공헌 활동 협약식이 지난 11월 5일 관악캠퍼스 호암교수회관에서 진행되었다. 이번 협약은 서울대학교가 보유하고 있는 학문 영역별 우수 인력을 통해 대학의 사회적 역할을 다하고자 하는 단과대학(원)과 글로벌사회공헌단의 의지가 함께하게 된 결과이다. . .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JWLEE Center for Global Medicine, 센터장 이종구)는 지난 2013년부터 라파엘인터내셔널(Raphael International)과 협력하여 네팔의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사업은 실내 대기오염도 개선을 위한& . . .
우물안 개구리 의대생, IFMSA General Assembly 참석하다.필자 : 김종태가톨릭의대 본과4학년 학생으로서 의대 교육과정의 일환으로서 2월 17일부터 6주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에서 인턴과정을 마쳤다.필자는 3월 1일 ~ 10일 튀니지에서 열린 제 63회 IFMSA Gene . . .
세계보건기구는 개발도상국가들이 스스로 질병부담을 감당하고 자국민의 건강증진활동을 할 수 있는 국가보건의료체계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보건의료 인적자원개발에 힘쓰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서태평양지역사무소는 지난 2012년 8월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인력개발을 위하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종욱글로 . . .
평화로운 세계를 만드는 교육, 세계시민교육을 선도하는 정우탁 원장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정우탁 원장 인터뷰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에서 6월에 만나본 파트너는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이하 아태교육원)의 정우탁 원장이다. 오로지 실력만으로 한국인 최초의 국제기구 수장이 되었던 . . .
모두를 위한 열린 강의, Academia for Global Medicine국내 보건의료인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최신 국제보건 동향을 이해하고 나아가 국제보건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장을 만들어보고자 개최되어온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의 아카데미아 강연시리즈(Academia or Global Medicine) . . .
지난 19일, 세계를 이끄는 지도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보건과 나눔에 대한 진지한 대화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세계의 평화와 번영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준비된 조선일보사 주최 제6회 아시안리더십콘퍼런스(ALC)에서 고(故)이종욱 전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을 기리는 특별 세션이 열린 것이다. ‘한반도의 . . .
지난 6월 10일 수요일, 강남 파이낸스 센터 구글코리아 회의실에서 적정기술에 대한 열띤 대화의 장이 펼쳐졌다. 적정기술학회와 서울대학교 아시아에너지지속가능발전연구소의 주관으로 열린 이번 정책 포럼에서는 적정 기술을 포함한 국내 과학기술, 정책, 개발협력, 교육 분야의 명망 있는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적정 . . .
지난 5월 29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에서는2015국제보건의료학회(학회장 김창엽)의 춘계학술대회가 개최되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보건부문 사업의 성과 관리, 일차보건의료, 국제보건과 기술을 화두로 하는 오전 교육 세션과 에볼라 사태에서 얻는 교훈, Post2015 보건분야의 과제와 도전을 . . .
늘 조용하던 국제관 1층이 시끌시끌하다. 어디선가 여드름 가득한 호기심 소년들이 나타났다. 그들의 공통점은 모두의 장래희망이 다름 아닌 ‘의사’라는 점이다. 장래 남을 돕는 의사가 되기를 꿈꾸는 이 소년들은 부산고등학교 의학동아리 1-2학년 학생들이다. 학생들은 사흘에 걸쳐 진로 탐색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보건복지부 질병관 . . .
행동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부산고등학교 의학동아리 소년들의 CGM 방문기 늘 조용하던 국제관 1층이 시끌시끌하다. 어디선가 여드름 가득한 호기심 소년들이 나타났다. 그들의 공통점은 모두의 장래희망이 다름 아닌 ‘의사’라는 점이다. 장래 남 . . .
스마트폰 이용의 증가와 보다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한 쉽고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들이 등장하면서 SNS(Social Network Services) 이용자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국 25,000가구의 약 63.5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KISA(한국인터넷진흥원)의 <2014년 인터넷이 . . .
Prabin Shakya (Coordinator at Dhulikhel Hospital)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이하 CGM)는 지난 4월 발생한 네팔의 지진피해 현장에 CGM의 네팔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둘리켈병원 소속 Prabin Shakya(현 서울의대 의료정보학 석사과정 재학 중)를 파견하였다. 아래의 내용은 . . .
이와 같은 건강 캠페인 중에 세계보건기구(WHO)가 날짜를 지정하고 공식적인 캠페인으로 추진하는 기념일은 모두 8개로 그 중 세개의 기념일이 4월에 지정되어 있다. 4월에 자리잡은 공식 기념일들 – 세계 보건의 날(World Health Day), 세계 말라리아의 날(World Malaria Day), 세계 예방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