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ay
– 아픈 사람 건강하게, 건강한 사람 더욱 건강하게 – CGM: 최근에는 동네 병의원에서 가정의학과를 많이 보게 된 것 같습니다. 언제부터 가정의학과가 생겼는지요? Bio-medicine 발전이 최고조에 달하는 1960년대입니다. 당 . . .
jwleecenter / 2019-08-13
CGM : 날씨가 덥습니다. 요즘 같은 폭염에는 응급실에 더 많은 환자들이 찾아오나요? 응급실에서 응급의학과 선생님들을 만나 볼 수 있지요? 서울대 병원 응급실에는 소아가 80명, 성인이 120명 정도 그래서 하루에 200명 정도 내원합니다. . . .
신좌섭 교수는 ‘참여’와 ‘긍정’을 통해 사람과 조직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퍼실리테이터이다.CGM: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의 설립과정을 듣다 보면, REDC이야기가 빠지지 않고 등장합니다.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설명을 해주시겠습니까? 1960년대 WHO는 개발 . . .
암 환자를 행복하게 만드는 우 홍균 교수 우 홍균 교수는 암 환자가 행복하게 되기를 고민하는 방사선종양학자다. CGM : 최근 베트남 방사선 종양학과 초청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에서 활동하고 계시는데 해외 의료인을 교육하시는 일이 종종 있나요?국제원자력기구(IAEA) . . .
홍 윤철 교수는 질병의 원인을 환경의 변화로 밝히는 예방의학자다.CGM : 최근 저희 CGM 병원역량강화부 교수님과 연구원들과 함께 네팔에 다녀오셨는데, 어떤 특별한 계기가 있으셨는지요? 네팔의 지역 환경개선 사업에 협력하기 위해 함께 다녀왔습니다. 네팔은 . . .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CGM)에서는 센터 활동에 참여하고 계시는 교수님들을 만나 글로벌헬스의 중요성과 이에 필요한 담론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글로벌헬스를 함께 논의하는 소통의 장이 되고, 여러 목소리를 듣는 기회로 삼아 뉴스레터를 통해 전달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편집자 주]&nb . . .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CGM)에서는 센터 활동에 참여하고 계시는 교수님들을 만나 글로벌헬스의 중요성과 이에 필요한 담론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글로벌헬스를 함께 논의하는 소통의 장이 되고, 여러 목소리를 듣는 기회로 삼아 뉴스레터를 통해 전달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편집자 . . .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에서 진행되는 네팔 소아흉부외과 역량강화를 위한 국내초청연수 입교식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제관에서 이루어졌다. 네팔 카트만두대학 둘리켈 병원에서 3명의 의료인을 국내로 초청하여 진행되는 이번 연수프로그램은 2015년 2월까지 진행된다.
인도주의적 의료지원 세미나 분쟁 및 질병 발생 지역에서의 인도주의적 의료 지원 가을바람이 부는 8월의 마지막 주 목요일에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에서는 ‘국경없는의사회’의 인도주의적 지원에 관한 세미나가 열렸다. 분쟁 및 질병 발생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의료지원에 대하여 마리아 게바라 . . .
2014년 6월 2일, 대학로 ‘들풀’ 한정식 식당에서 연수생들과의 첫 만남을 시작으로 이종욱펠로우십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연수생을 위한 기숙사는 지난 5월 개관 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제관이었다. 이곳은 이제 막 리모델링을 마친 상태였기 때문에, 낯선 한국에 적응해야 하는 연수생들에게 . . .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는 2012년 8월 개소와 함께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 사무소와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2012년 8월 12일부터 2013년 8월 13일까지 개발도상국의 보건의료인력개발을 지원하는 ‘지역교육개발센터(Regio . . .
6월 13일 오후 5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제관에서는 개관 행사가 진행되었다.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는 국제관 1층에 연구실, 행정실, 커뮤니케이션정보실, fellow lecture룸 등을 배정받았다. 국제관의 개관과 더불어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가 새로운 시기로 도약되고 더욱 활발한 활동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개관식 . . .
2014년 이종욱펠로우십 보건정책과정아시아 – 아프리카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에서는 지난 6월 2일부터 85일 동안 계속되는 아시아 – 아프리카 보건정책 관료들을 대상으로 이종욱펠로우십 연수를 시작하였다. 서울대학교의 . . .
서울대학교 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 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대학교병원강남센터 합동심포지엄 지난 5월 9일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대강당에서는 서울대 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 병원, 분당서울대병원, . . .
지난 3월 27일, 충북 오송에서는 국립의과학지식센터의 개관식이 있었다. 국립의과학지식센터는 우리나라의 의과학정보를 수집, 관리하고 보존하여 새로운 지식 창조를 돕고 동시에 그 지식을 필요로하는 누구에게든지 제공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즉 우리나라의 과학과 의학교육이 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며 근거중심의 의료정보, 개 . . .